산부인과 의사가 알려주는 질염 예방법
많은 여성들이 경험하는 질염은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절기에 더 많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적절한 보살핌과 치료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질염에 걸리면 악취, 가려움증, 질 입구의 작열감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악화되면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적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질염의 원인
여성은 요도와 생식기가 항문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신체 구조상 남성보다 감염에 더 취약합니다. 또한 질은 습하고 따뜻한 환경이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피로, 스트레스, 음주, 흡연, 불규칙한 생활습관도 질염을 악화시키는 동시에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또한 항생제, 피임약 및 성병을 복용하는 것도 질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성매개질환 질염
성매개질환 은 자신이 질병을 가지고 있으면 파트너인 남성도 치료를 해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성매개질환 종류는 임균, 클라미디아,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 트리코모나스 질염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성병이 아닌 질염에는 세균성 질염인 가드네렐라, 캔디다성 질염(곰팡이염) 등이 있습니다. 또한 폐경 여성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위축성 질염도 있습니다. 이 밖에도 유레아플라스마, 파붐,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가 있습니다. 유레아플라즈마 유레아라이티쿰 의 경우는 가끔은 성병일 때도 있지만 성병이 아닐 때도 있으니 구분하시면 좋습니다.
질염의 종류
질염은 크게 세균성 질염, 칸디다(진균)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으로 나뉩니다. 세균성 질염은 어떤 이유로 정상적인 세균보다 혐기성 세균이 질 내에 과도하게 증식하여 발생하며, 냉대하증과 비린내가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칸디다 질염은 덩어리진 백색 치즈 질감, 가려움증, 외음부의 통증과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임산부, 장기간 경구피임약 사용, 장기간 항생제 사용, 면역 기능이 약해진 사람들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트리코모나스 질염은 성교를 통해 전염되며 전염성이 높습니다. 썩은 물고기의 물과 같은 냄새가 나는 경우 질편모충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기생충의 일종인 트리코모나스는 이동성이 좋아 방광을 침범하여 방광염과 골반통을 유발하여 하복부를 아프게 할 수 있습니다. 후유증으로 불임, 골반염, 조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염의 증상
질 분비물 의 양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여성 질 분비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냉대하 또는 대하 라고 합니다. 이중 하얗게 보일 경우를 백대하 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색깔이 변했다거나 냄새가 나고 가렵고, 관계할 때 아프다면 질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배란기 때는 정상적으로 양이 많아지는데 이때는 계란 흰자와 같이 미끈한 분비물이 나오게 됩니다. 생리 때가 가까워오면 색깔이 탁해지고 노래지면서 생리를 하고 나면 질 안에 환경이 염기성으로 바뀌게 되고 이 때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며칠 동안 분비물 양이 많아지고 색깔도 좋지 않습니다.
앉아있는데 냄새가 올라온다고 이야기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생선 비린내가 난다거나 계란 썩은 냄새가 난다면 빨리 산부인과를 찾아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캔디다 질염 의 경우는 증상이 명확합니다. 질 분비물이 우유가 응고된 것처럼 보입니다. 캔디다 질염의 경우는 질 내 산도(PH)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피곤하거나 면역력에 문제가 생기면 발생하니 증상이 발생되면 산부인과를 찾아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특히 캔디다 질염이 발생했을 때 빠르게 치료해야 하는 사람들은 임산부(산모), 당뇨병 환자, 결핵환자, 항암치료 중인 환자들입니다. 가려움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입니다. 캔디다 질염이 오래 지속되게 되면 소음순 자체도 각화되어 붓게 됩니다. 만성 캔디다 질염 의 문제는 캔디다 알비칸스라고 해서 캔디다 질염이 많이 생기게 되는데 캔디다 알비칸스 말고 다른 캔디다로 인해서 발생해서 치료가 한번에 끝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기적으로 6개월 이상 억제 요법을 한다해도 절반 이상이 약을 끊으면 재발하기 때문입니다. 질염을 치료하겠다고 가까운 약국에 가서 질염 약 을 구매하는 경우가 있는데 항생제 처방이 안되기 때문에 치료가 되지 않습니다.
질염 치료법
산부인과에서 질염약을 처방하게 되면 의사에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항생제는 보통 72시간 내에 효과가 있어야 약효가 듣게 됩니다. 3일 정도 증상이 좋아지게 되면 약을 끊게 되는데 이때 균들은 항생제 복용이 끝났기 때문에 그 항생제로 죽지 않게 되어 질염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복용기간을 잘 지켜서 약을 드시길 권장합니다. 그래야 완전히 제균되고 내성도 안 생기게 됩니다.
질염 예방법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질 내 환경을 산성에서 염기성으로 바꿔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남자 파트너가 성병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전파가 적게 되도록 콘돔을 사용하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임신할 계획이 아니라고 한다면 질내 사정을 하지 않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외음부를 씻는 것은 괜찮지만 질 내를 세척하게 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질을 깨끗하게 하겠다고 세정제로 씻어낸다거나 하는 행위는 지양해야 합니다. 특히 산부인과 검진 전에 의사를 배려한다는 이유로 깨끗하게 씻고 가면 검사 자체가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평소대로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질 내 환경을 산성으로 만들어주는 좋은 세균들이 있어야지만 나쁜 세균들이 증식되지 못합니다. 질세정제를 사용하게 되면 젖산균 이 살아남지 못합니다. 젖산균들이 정상세균총을 만들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데 이것들을 씻어낸다면 이겨내지 못합니다. 물론 질세정제는 약산성으로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다만 매일 질을 질세정제로 씻어낸다면 오히려 질염 발생의 원인이 되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만약 질세정제를 사용하고 싶다라면 생리 끝난 직후에 잠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특히 용변을 보고 난 이 후 휴지로 뒤에서 앞으로 닦게 되면 세균이 앞쪽 질과 요도쪽으로 오게 되어 질염 발생에 원인이 됩니다. 되도록 앞에서 뒤로 닦는 것이 여성 방광염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질염이나 방광염에서 흔히 발견되는 것들이 대장균들이기 때문입니다.
성관계 후에 방광을 비워 주면 균 증식이 적어지기 때문에 관계 후에 바로 소변 보는 것도 중요한 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질염을 방치하게 될 경우
자궁 자체는 나팔관을 통해 안 쪽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세균들이 더 안쪽으로 올라가면서 골반염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골반염이 만성화 되게 되면 유착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합니다.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심하면 난임까지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성매개질환 들을 방치했을 때 문제가 발생됩니다. 균이 있는지 모르고 임신을 하게 된 경우 조산이 되거나 조기 양막 파수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그 균이 아이에게 가면서 (특히 클라미디아, 임균의 경우) 아기의 눈에 염증을 일으킨다든지 패혈증이 생기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질염은 방치하지 말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과 의사가 알려주는 모공 줄이는 방법 (0) | 2022.04.07 |
---|---|
가스가 자주 차고, 방귀가 자주 나오는 이유와 원인 해결방법 (0) | 2022.04.06 |
물 대체 가능한 차, 물처럼 마시면 안되는 차 (0) | 2022.04.03 |
공복에 먹으면 안 좋은 음식, 공복에 좋은 음식 (0) | 2022.04.02 |
가래 없애는 방법 , 목에 낀 가래 제거법 (0) | 2022.04.0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