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 두창 원인 및 진단과 예방법 - 로사마르
반응형

원숭이 두창

원숭이 두창 원인 및 진단과 예방법


아프리카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원숭이 두창이 최근 유럽과 북미에서 잇달아 발생하고 있습니다. 원래 원숭이 두창은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등 중서부 아프리카에서 풍토병으로 인식되었습니다. 감염 사례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었으나 최근에는 유럽대륙, 미주, 중동 등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름도 생소한 원숭이 두창의 원인, 증상 및 백신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원숭이두창 란 무엇입니까?


원숭이 두창은 'Monkeypox' 라는 희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인간과 동물 사이에 전염되는 전염병)입니다. 1958년 덴마크에서 천연두(두창)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실험실의 원숭이에게서 처음 발견되어, 그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합니다. 원숭이두창은 사람간 전파는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인근 지역에서 감염이 발생하여 현재는 서부 및 중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 되었습니다.

유럽에서는 이 지역으로 여행하는 여행자들 사이에서 감염 보고가 거의 없는 매우 드문 질병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호주, 벨기에,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영국, 미국 등 12개국에서 92명의 확진자가 보고되고있습니다.

원숭이두창의 원인 (전염 경로)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감염의 원인은 주로 설치류에 의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간 감염의 경우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는 피부, 병변, 체액, 호흡기관 및 점막을 통해 몸에 들어옵니다. COVID-19는 밀접한 물리적 접촉 또는 피부 대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사람 간 전염은 COVID-19에 비해 상대적으로 드뭅니다. 피부에 베인 상처, 혈액, 체액, 타액, 침구 등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과 접촉하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원숭이 두창 증상과 치사율


원숭이두창에 감염되면 천연두에 걸린 것과 같은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증상은 보통 6~13일의 잠복기 후에 나타납니다. 초기 증상에는 발열, 두통, 근육통, 요통, 림프절 비대, 오한, 쇠약 등이 있습니다.

발진은 수포(물집)나 농포(고름)로 진행되며, 특징적인 증상은 손에 수두와 유사한 수포성 발진과 함께 심한 가려움증입니다. 발생하는 증상은 약 2~4주 동안 지속됩니다.

원숭이 두창 증상은 일반적으로 감염 후 4주 이내에 저절로 해결됩니다. 이로 인한 치명률은 약 1~10%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경미한 증상을 보이는 서아프리카 유형의 치사율은 약 1%입니다. 그러나 중증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콩고 분지의 경우 치사율이 10%에 이릅니다. 최근 유럽에서 발견된 원숭이 두창은 치사율이 3~6%인 서아프리카 유형입니다.

원숭이 두창 진단, 치료 및 백신 효과

국내에서는 유전자 증폭 검사(PCR) 방법을 통해 원숭이 두창에 대한 진단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특별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천연두 치료에 사용되는 항바이러스제는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다행히도 원숭이두창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 백신이 존재합니다. 기존 천연두 백신은 원숭이 두창을 약 85%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덴마크 제약사인 바바리안 노르딕의 '임바넥스 백신'은 원래 천연두(두창) 백신으로 승인됐으나,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원숭이 두창에도 활용할 수 있는 백신으로 승인했습니다.

원숭이 두창 예방하는 방법


세계보건기구(WHO)는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킬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합니다. 예방백신이 존재하지만 선제적으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원숭이두창이 발생한 지역의 방문을 자제하고 해당 지역의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픈 동물의 서식지 및 물체와의 접촉을 피하십시오. 환자가 원숭이두창에 감염되면 격리 조치가 필요하며, 환자를 보호할 때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하십시오.

코로나19의 확산 감소로 국가 간 여행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국내외 관광객 유입에 따른 감염 사례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가능한 한 타인과의 접촉을 피하고, 병원에 감염병 전문의에게 여행 또는 접촉 이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으십시오. 또한, 원숭이 두창은 격리가 필요한 1급 전염병이므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 보건소에 자발적으로 신고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원숭이두창 #원숭이수두 #원숭이두창의원인 #원숭이두창바이러스 #원숭이두창백신
#천연두 #두창 #원숭이두창초기증상 #원숭이두창예방법
#원숭이두창원인 #원숭이두창치사율
#원숭이두창치료 #원숭이두창예방 #전염병
#감염병예방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