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하반기 지원금 총정리
하반기부터 각종 지원금 신청기간 곧 시작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각종 지원금 대상과 지원금액에 관심이 있습니다.
보기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사업
연소득 1400만원 이하
최대 12개월간 월 20만원 (월세 총 240만원 지원)
저소득 무주택 청년의 월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새로운 정책입니다. 2022년부터 3년간 시행할 예정입니다.
지원 대상
1. 만 19세 이상 만 34세 미만으로 독립 거주 중인 무주택자
2. 본인의 소득이 중위소득의 60% 이하이고, 부모의 소득이 중위소득의 100% 이하인 경우
3. 대상주택이 부모, 형제자매 등 가족구성원인 경우 신청 불가
2022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연소득 2400만원 이하
3년간 매월 10만원 저축하면 정부지원금 포함 최대 1,440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차 소득계층을 지원하던 '청년저축계좌'가 저소득 청년근로자도 받을 수 있도록 개편됐습니다.
(지원서는 2022년 7월 접수 예정이며, 대상 고객은 104,000명으로 대폭 확대)
지원대상
1.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기본수혜자, 2위는 15세 이상 39세 이하)
2. 근로 중이고 중위소득 100% 미만이어야 함.(두 번째로 높은 소득은 이 기준에서 제외)
3. 대도시 3억 5000만원 미만, 중소도시 2억원, 농촌 1억 7000만원 이하 재산 소유
청년취업지원
연소득 2,800만원 이하
6개월간 월 50만원, 총 300만원 지급 및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가능
기존 국가고용제도 1종에서 지원하는 구직촉진 수당입니다. 청년형 조건을 부분적으로 완화하고, 선발 규모를 확대했습니다.
('취업성공패키지'로 알려진 국가고용제도 2종은 그대로 유지)
지원대상
1. 만 19~34세 청년 구직자(선발형, 선발형 15~69세)
2. 중위소득 120% 이하는 경력이 없어도 OK
3. 재산총액이 4억원 미만인 경우
2022년 청년희망적금
연소득 3,600만원 이하
2년 동안 월 50만원을 적금하면 4%의 추가 적금 인센티브(약 36만원)가 지급됩니다.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시장 금리에 적용되는 이자와 함께 추가적인 저축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적금 예금
(최대 월납입금 50만원, 시중은행에서 가능)
지원대상
1. 만 19세 이상 34세 미만의 청년근로자
2. 연봉총액이 3600만원 이하 또는 소득총액이 2400만원 이하
3. 1년 연 2%, 2년차 연 4% 추가 적금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연소득 5천만원 이하
3년 만기 기준 원금 1,800만원 + 투자수익 + 수령시 소득공제 최대 720만원
원금과 투자수익은 유지하면서 납입금액의 최대 40%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펀드 상품
(연소득 3,500만원 이하 청년 희망적금 가입 가능)
지원대상
1. 만 19세 이상 34세 미만의 청년근로자
2. 연봉 5천만원 이하(세전 급여 4,166,677원 이하)
3. 연납입한도는 최대 600만원, 만기는 3~5년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월세 20만원 한도 내에서는 무이자 / 보증금 대출 이자는 연 1.3%
보증금 3,500만원으로 월 최대 50만원의 저렴한 이율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소득 완화 조건 : 연소득 2000만원~5000만원)
지원대상
1. 신청일 현재 무주택 세대주인 만 19~34세 청소년
2. 신청인과 배우자의 합산 소득이 연간 5천만원 이하일 것
3. 순자산가치가 2,29억원 이하이고 보증금의 5%를 지급하는 경우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연소득 7천만원 이하
보증금의 90% 이내에서 연 2.2%의 금리로 전세 보증금으로 최대 1억원까지 대출 가능
중소기업청 전세대출보다 엄격한 조건 없이 34세까지 연장 가능한 전세대출
(기혼자도 시중은행에서 신청 가능)
지원대상
1. 신청일 현재 무주택 세대주인 만 19~34세 청소년
2. 본인 및 배우자의 연구소득 합계액이 1천만원 이하인 자
3. 순자산가치가 2,29억원 이하이고 보증금의 5%를 지급하는 경우
청년 마음 건강 바우처
3개월간 심리상담 지원 월 20만원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을 위한 상담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상품권을 제공합니다.
(목표 규모는 15,000명 내외로 예상 / 각 지자체에서 신청 가능)
지원대상
1. 19-34세
2. 공제액의 10%만 지불
3. 기타 소득 또는 재산 조건 없음
#2022하반기지원금총정리 #2022하반기지원금
#하반기지원금 #무주택청년월세지원사업
#청년마음건강바우처 #청년맞춤형전세대출
#청년전용보증부월세대출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2022년청년희망적금 #청년취업지원
#2022년청년내일저축계좌 #무주택청년월세지원사업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 고발센터, 소비자 보호법 환불 규정, 접수 방법, 피해 신고 방법 (0) | 2022.06.13 |
---|---|
6차 재난지원금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 총정리 (0) | 2022.06.08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대상, 조건, 신청방법 (0) | 2022.06.02 |
계속적으로 오는 선거전화문자 차단 방법! (0) | 2022.05.27 |
해외여행 입국 규정 총정리 최신판 (0) | 2022.05.26 |
최근댓글